From 933b594082ad0da0b541749ac38b5bb00641495d Mon Sep 17 00:00:00 2001 From: binary_ho Date: Sat, 20 Apr 2024 16:10:58 +0900 Subject: [PATCH] =?UTF-8?q?[10=EC=A3=BC=EC=B0=A8=201]=20Red-Black=20Tree?= =?UTF-8?q?=EC=99=80=20java.util=EC=97=90=EC=84=9C=EC=9D=98=20=EA=B5=AC?= =?UTF-8?q?=ED=98=84=20=20(#109)?= MIME-Version: 1.0 Content-Type: text/plain; charset=UTF-8 Content-Transfer-Encoding: 8bit * Create [Java] Red-Black Tree와 java.util에서의 구현 1.md * feat : 삽입 과정 설명 추가와 중간 중간 내용 추가 및 수정 * docs : Red-Black Tree의 삭제와 재조정 * Update and rename [Java] Red-Black Tree와 java.util에서의 구현 방식.md to [Java] Red-Black Tree와 java util에서의 구현법.md --- ...0 \352\265\254\355\230\204\353\262\225.md" | 522 ++++++++++++++++++ 1 file changed, 522 insertions(+) create mode 100644 "jin/[Java] Red-Black Tree\354\231\200 java util\354\227\220\354\204\234\354\235\230 \352\265\254\355\230\204\353\262\225.md" diff --git "a/jin/[Java] Red-Black Tree\354\231\200 java util\354\227\220\354\204\234\354\235\230 \352\265\254\355\230\204\353\262\225.md" "b/jin/[Java] Red-Black Tree\354\231\200 java util\354\227\220\354\204\234\354\235\230 \352\265\254\355\230\204\353\262\225.md"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..1ecc6ef --- /dev/null +++ "b/jin/[Java] Red-Black Tree\354\231\200 java util\354\227\220\354\204\234\354\235\230 \352\265\254\355\230\204\353\262\225.md" @@ -0,0 +1,522 @@ +- 레드 블랙 트리란? +- 규칙 +- 동작 원리 +- 회전과 recoloring +- Java에서의 + +# Red-Black Tree와 java.util에서의 구현 + +## 1. Red-Black Tree란 +![image](https://github.com/10000-Bagger/free-topic-study/assets/71186266/b5492724-25b2-48ce-8854-c10f731f6e5c) + + +레드 블랙 트리란 Balanced Binary-Search Tree로, 모든 노드들을 빨간 색 혹은 검은 색으로 칠해 놓았기 때문에 레드-블랙 트리라고 부른다.
+ +![image](https://github.com/10000-Bagger/free-topic-study/assets/71186266/251fdb6c-11b1-4675-a18f-5f51d406ac7f) + +
+ +어이 없지만, 이런 이유로 Red-Black 트리이다. 트리를 처음 고안한 논문의 저자들이 사용할 수 있었던 프린터가 만들어낸 가장 "멋진"색이기 때문이라고 한다.

+ +레드 블랙 트리는, 이런 빨강-검정으로 트리의 노드들을 색칠하고, 색에 대한 규칙을 세워 규칙을 어기는 경우 다시 균형을 맞춰 높이를 낮춘다.
+균형을 맞추는 트리들이 균형을 맞추는 이유는 트리 Depth를 줄여 빠르게 탐색하기 위해서이다! 편향된 트리를 보면 알겠지만, 탐색 시간 복잡도가 O(N)이 된다.
+ +![image](https://github.com/10000-Bagger/free-topic-study/assets/71186266/5cb52a3d-29a9-4667-a00b-245c46a2fc78) + +가장 아래에 있는 데이터를 찾는 경우 데이터 전체 갯수만큼 탐색하게 된다.
+ +균형을 맞췄을 때, 최악 탐색 시간 복잡도가 줄어들게 되기 떄문에, 균형을 맞추는 것이다. + +![image](https://github.com/10000-Bagger/free-topic-study/assets/71186266/afac3f0b-ed2e-4696-b422-633ca215ccd0) + +어떤 데이터를 탐색해도 균일하게 빠르다. (시간 복잡도 증명은 3번 글에 기재)

+ + + + + + + + + + + + + + + + + + + +## 2. Red-Black Tree 규칙 +레드 블랙 트리는 균형을 맞추기 위해 색을 칠한다고 했다. 색칠된 노드들의 규칙을 살펴보자. + +1. 모든 노드는 빨강 혹은 검정으로 색칠 되어 있다. +2. Root는 Black이다. +3. 모든 Leaf Node는 Black이다. +4. **빨강 노드는 연속될 수 없다.** +5. Root 노드에서 모든 Leaf 노드까지 가는 경로의 Black Node 갯수는 같다! +6. **새로 삽입되는 노드는 빨강이다.** + +
+ +보통 5번까지만 규칙으로 언급되고, 6번은 이해를 용이하기 위해 기재했다.
+**결국 새로운 노드는 무조건 빨강색으로 삽입되기 때문에, 빨강이 연속되는 순간이 나오게 되는 것이고, 빨강 노드가 연속되는 경우에 균형을 맞추는 작업이 이루어진다.**
+ + + +### 5번 규칙 확인 +간단하게 위 그림을 살펴보면 정말로 `5번 규칙 : Root 노드에서 모든 Leaf 노드까지 가는 경로의 Black Node 갯수는 같다`를 확인할 수 있다.
+ ![image](https://github.com/10000-Bagger/free-topic-study/assets/71186266/fa4e5451-dfda-48b4-b357-9d7b2fb186bb) + + 왼쪽 끝 부터 살펴보자. K번 노드에 도착하기까지 Balck Node 갯수를 세어보자. 간단하게 노드가 가지고 있는 값으로 `K번 노드` 라고 칭하겠다. + 1. `1번 노드` : 13, 1 노드 -> 2개 + 2. `6번 노드` : 13, 1 노드 -> 2개 + 3. `11번 노드` : 13, 11 노드 -> 2개 + 4. `15번 노드` : 13, 15 노드 -> 2개 + 5. `22번 노드` : 13, 25 노드 -> 2개 + 6. `27번 노드` : 13, 25 노드 -> 2개 + +
+ +이렇게 직접 세어보면 5번 규칙을 만족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. + +### 왜 새로운 Node는 빨강색인가? +검은 노드를 넣는 것보다 규칙을 맞추기가 더 쉽기 때문이다.
+예를 들어 검은 노드를 넣는다면, 5번 규칙을 어기기 쉬울 것이다. 이때, 5번 규칙을 지키기 위해서는 복잡한 재정렬이 필요한데, 이것 보다는 빨간 노드를 넣고, 빨간 노드가 연속했을 때 고치는 과정이 쉽다고 한다. (안 쉽던데..)
+ + + +## 3. Red-Black Tree의 균형을 맞추기 위한 연산 +Red-Black Tree가 균형을 맞추는 방식은 2가지이다. +1. `Recoloring` : 주변 노드들의 색을 변경해 균형을 맞춘다. +2. `Rotation` : 노드들을 회전 시켜 균형을 맞춘다. AVL Tree처럼 회전시킨다. Restructring이라고 표현하는 한글 아티클도 많은데, 이는 Recolor를 포함하는 표현인듯 하다. + +
+ +두 가지 방법을 좀 더 자세히 살펴보자. 그다음 삽입과 삭제시에 무슨 일이 일어나는지 두 가지 방법을 통해 설명하겠다. 그리고 Java 라이브러리의 구현을 살펴보자. + +
+ +### 설명하기 전에.. +![image](https://github.com/10000-Bagger/free-topic-study/assets/71186266/fa4e5451-dfda-48b4-b357-9d7b2fb186bb) +1. NIL 노드 : **아무 데이터가 없는 Black 노드이다.** Red-Black Tree에서 규칙을 지키기 위해 데이터가 없는 검은 리프 노드를 NIL 노드로 사용한다. +2. NIL로 채워져 있는 Leaf : Red-Balck Tree의 Leaf Node들은 NIL로 채워져 있다 (위 그림 참고..) +3. Grand Parent 노드 : 부모의 부모 노드이다. +4. Parent Sibling 노드 : 말 그대로 부모 노드의 형제 노드이다. Grand Parent Node의 자식 노드 중 부모 노드가 아닌 노드를 이렇게 부르겠다. +5. 균형은 여러번 맞춰질 수 있다 : 균형을 맞추는 작업을 1회 실시하더라도, 빨간 노드가 연속하는 상황이 벌어질 수 있다.
그런 경우 균형을 맞추는 작업은 여러번 반복된다. + +
+ +### 3.1 Recoloring + +Recoloring은 말 그대로 노드들의 색을 다시 칠하는 것이다.
+ +![image](https://github.com/binary-ho/Algorithm-and-Data-Structure/assets/71186266/1537a362-0080-4c63-8ad5-aee56ef98e14) + +
+ +위 그림에서 파란색 동그라미로 표시한 것이 새 노드이다. +위 그림처럼 노드들의 색을 바꾸는 것인데, 삽입과 삭제시 색 변경이 다르게 진행될 수 있다. + +
+ +### 삽입시 Recoloring +**Recoloring은 삽입시 부모와, 부모의 형제 노드가 둘 다 빨간색인 경우 발생한다.**
+ +1. 부모 노드와 Parent Sibling 노드를 검은 색으로 변경한다. +2. 이후 Grand Parent Node를 빨간 색으로 변경한다. + - 만약 Grand Parent Node가 루트였다면 검은 색으로 변경한다. + - 만약 Grand Parent Node가 빨간색이 되면서, "빨간색 노드는 연속으로 2개가 올 수 없다"규칙이 깨지는 경우, Recoloring 혹은 Rotation을 진행한다. + + +
+ + +### 3.2 Rotation +노드들을 회전시킨다.
+AVL Tree의 Rotation을 안다면 그것과 동일하다.
+설명을 너무 복잡하게 하는 곳이 많은데, 그림과 코드를 먼저 보는게 훨씬 쉽다. 코드는 짧지만 상상하면 머리가 복잡해진다. 종이에 직접 그려보면 괜찮다.
+ +마치 핸들을 돌리듯이 x와 y를 잡고 왼쪽, 오른쪽으로 돌리는 모습을 상상하면 된다!
+ + +### Left-Rotate +![image](https://github.com/binary-ho/Algorithm-and-Data-Structure/assets/71186266/5faec6e8-5640-4530-9ce5-43e77e583afa) + +x, y, 감마를 잡고 왼쪽으로 회전한다고 생각해보면 된다. 위와 같은 상황에서 y에 자식이 있다면, 그 값은 x보다 크고, y보다 작은 것이므로, x의 오른쪽에 가게 된다. 간단한 c++ 코드로는 아래와 같이 구현할 수 있다. + +```c++ +x->rightChild = y->leftChild; +y->leftChild = x; +``` + +### Right-Rotate + + +![image](https://github.com/10000-Bagger/free-topic-study/assets/71186266/ee5b1670-c594-4430-925e-b44650032049) + +Left Rotate와 반대이다. + +코드로는 아래와 같이 구현할 수 있다 (c++) +```c++ +y->leftChild = x->rightChild; +x->rightChild = y; +``` + + +### LR, RL Rotate +AVL Tree처럼 LR, RL 회전도 있다. + + +![image](https://github.com/10000-Bagger/free-topic-study/assets/71186266/cd13f4ef-d4a6-4169-aede-b6d1e2015ce3) + +LR 회전은 위와 같이 수행되는데, 더 아래에 있는 xy먼저 잡고 Left Rotate를 한 다음, yz를 잡고 Right Rotate한다. 보통 새로 삽입된 노드가 부모의 오른쪽 자식이고, 부모는 Grand Parent Node의 왼쪽 자식일 대 발생한다.
+RL 회전은 반대 상황에서 발생한다. + +![image](https://github.com/binary-ho/Algorithm-and-Data-Structure/assets/71186266/1ea8e769-d42d-459c-99e0-4fb76d0683f9) + + +
+ +이렇게 균형을 맞추기 위한 연산들을 알아봤다. 이제, 균형을 맞추는 두 연산 `Recolor`와 `Rotate`를 통해 Red-Black Tree의 삽입 연산과 삭제 연산을 알아보자. 그리고 코드를 살펴본 다음, Java 라이브러리에서 어떻게 사용하는지 살펴보자 (HashMap과 TreeSet, TreeMap에서 사용) + + + +## 4. Red-Black의 삽입 +이제 Red-Black Tree의 삽입과 삭제를 알아보자.
+간단하게 동작을 그림과 함께 살펴본 다음, Java Code를 읽으며 이해해보자.
+나도 각종 블로그에서 설명만 보며 공부했을 때 보다 코드와 함께 공부했을 때 훨씬 이해가 잘 됐었다.
+ +### 4.1 검색 연산 +삽입 삭제를 설명하기에 앞서 검색 연산을 먼저 설명하고 싶다.
+왜냐하면 삽입과 삭제 과정에선 항상 검색 연산이 선행되기 때문이다. 이 노드가 들어갈만한 위치를 찾아야, 지우고 싶은 값이 트리상에서 어디에 있는지를 알아야 삽입하고 삭제할 수 있다.
+ +![RBTree22찾기1](https://github.com/10000-Bagger/free-topic-study/assets/71186266/1bb60276-b362-409e-8210-1c2526508962) + + +검색 연산은 간단하다. 레드 블랙트리는 정렬된 이진트리인 만큼, 루트에서 부터 시작해서 대소비교를 통해 현재 노드보다 넣어야 할 value가 작으면 왼쪽, 크면 오른쪽으로 이동하면 된다. (오름차순 정렬로 가정했을 때)
+ +정렬된 트리의 검색을 아는 사람이라면 지루하겠지만, 한번 살펴보자..
+예를 들어 위 그림에서 파란색 동그라미로 표시된 22 노드를 찾는다고 생각해보자. +1. 탐색은 루트에서 시작한다 +2. 22는 13보다 크므로, 오른쪽 자식으로 이동한다. +3. 22는 17보다 크므로, 오른쪽 자식으로 이동한다. +4. **22는 25보다 작으므로, 왼쪽 자식으로 이동한다.** +5. 완성! -> 아래 표시한 루트대로 이동할 것이다. + +![22찾기2](https://github.com/10000-Bagger/free-topic-study/assets/71186266/8ccbebbf-4d18-44ec-8807-98f25f6602b7) + +
+ +찾기 연산은 간단하고, 꼭 레드 블랙 트리만의 특징이 아니므로, 코드로 나타내지 않겠다.
+ + +### 4.2 삽입 +삽입은 앞서 언급한 Red-Black Tree의 규칙과 정렬 트리의 규칙대로 삽입된다. +1. 노드가 들어갈 위치를 찾는다. +2. **빨간 노드를 넣는다.** +3. **만약 `빨간 노드는 연속해서 놓일 수 없다` 규칙을 어기는 경우, 규칙을 만족할 때까지 Recoloring이나 Rotation을 적용한다.** + +
+ +단순히 삽입하는 과정은 어렵지 않다. 복잡한 것은 균형을 맞추는 과정이다. 보통 insert이후 현재 노드와 부모 노드가 빨간색인 경우 빨간 노드 연속을 제거한다. 제거 과정에서 색도 바꾸고 돌리고 하다 보면 또 빨간 노드 연속이 발생할 수 있는데, 재귀적으로 처리한다.
+ +### 4.3 삽입시 균형을 맞추는 과정 + +**아래 항목을 `"현재 노드"`와 그 `"부모 노드"`가 빨간 노드인 동안 반복한다.**
+ +1. 만약 `부모 노드`가 `조부모 노드`(부모의 부모)의 왼쪽 자식인 경우 + - `Case 1` : 만약 `부모의 형제 노드`가 **빨간색인** 경우 (부모 형제가 모두 빨간 색인 경우) + 1. `부모 노드`와 `부모의 형제` 노드를 **둘 다 검은색으로 칠한다.** + 2. 그리고 `조부모 노드`를 **빨간색으로 칠한다.** **이들은 앞서 소개한 Recoloring 방식에 해당한다.** + 3. 이후 `현재 노드`를 `조부모 노드`로 설정한다. (재귀 호출을 위한 과정) + - `Case 2` : `Case 1`이 아닌 경우 + 1. `부모 노드`를 검은 색으로 칠한다. + 2. 그리고 조부모 노드를 빨간 색으로 칠한다. + 3. **Right Rotate를 수행한다.** + - `Case 2 - 1` : `Case 2`를 적용하기 전의 전처리이다, **만약 `현재 노드`가 `부모 노드`의 오른쪽 자식인 경우** + 1. `현재 노드`를 `부모 노드`로 설정한다. + 2. **Left Rotate를 수행한다.** +2. 만약 `부모 노드`가 `조부모 노드`의 오른쪽 자식인 경우 - 위 과정을 모두 반대로 수행하면 된다. + +

+ +머리가 너무 아프다. 특히 인터넷에 올라온 코드들이 죄다 복잡 복잡하다. -> [이런거](https://www.programiz.com/dsa/red-black-tree) + +
+ +### 4.4 Java TreeMap 코드로 살펴보자. +가장 깔끔하고 읽기 좋은 코드는 java util에 있었다.
+역시 형이야! 구하러 와줬구나? Red-Black Tree.. 그 유명한 Java HashMap 거기지?
+-> 절대 아니다 일단 변수명이 너무하다. 아래와 같다. +![image](https://github.com/10000-Bagger/free-topic-study/assets/71186266/64fad093-fe70-4722-b8e4-1ae32edc5b66) + + +
+ +의외로 잘 쓰이지 않는 TreeMap에도 Red-Black Tree가 있는데, (PS할떄 가끔 TreeSet을 쓴다) 이게 아주 읽기 좋게 만들어져 있다. 그래서 Java TreeMap을 기준으로 설명하겠다. + +
+ +### TreeMap 보조 연산 +들어가기 전에.. TreeMap의 아름다운 보조 연산을 살펴보자. + +1. **색을 확인하는 `colorOf()`** +2. 부모를 확인하는 `parentOf()` +3. 색을 칠하는 `setColor()` +4. 자식을 확인하는 `leftOf()` + +
+ +![image](https://github.com/depromeet/amazing3-be/assets/71186266/8e7b0557-f05d-48a6-ac37-ab0ae8046fa0) + +**1번 `colorOf()`는 마음 속에 새겨야 한다. 그리고 NIL의 표현도 확인할 수 있다.**
+ +**p가 Null인지 확인하고, null이 아닌 경우 p의 color를, null인 경우 BLACK을 반환하는데, 이는 NIL의 표현이다. NIL은 무조건 검은 색이기 때문이다.**
+ +나머지 연산들은 모두 null check이후 연산하는데, 평범한 null safe call을 위한 일종의 연산 Wrapping들이다. p가 null인 경우 변수를 그냥 꺼내면 예외가 발생할 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. + + +### 4.5 Put Method +put Method는 Map에 데이터를 삽입하는 메서드로, 우리가 찾는 insert 연산을 구현했다.
+ +![put1](https://github.com/10000-Bagger/free-topic-study/assets/71186266/00493b5e-52d6-4cb3-a60d-c2b313eb2f25) + +가장 윗 부분을 보자. 기본적으로, Tree가 비어있는 경우 addEntryToMap을 호출하는데, 그 메서드는 바로 위에 있다. 단순히 루트에 새 노드를 할당해주고, 사이즈와 연산 횟수를 센다.
+ +put의 3번째 파라미터 `replaceOld`는 대체 여부를 따지는데, Map의 `put`과 `putIfAbsent`를 구분하는데에 쓰인다. + +![put2](https://github.com/10000-Bagger/free-topic-study/assets/71186266/81cd3dd6-d5d3-476d-8003-0926fe779563) + +
+ +나머지 부분은 역시 들어가게 될 위치를 찾는 과정이다. TreeMap은 생성자를 통해 `Comparator`를 넣어 생성할 수 있는데, 그런 `Comparator`가 있는 경우엔 그것을 사용하고, 없는 경우엔 key를 Comparable로 변환해 찾는다.
+ +![put3](https://github.com/10000-Bagger/free-topic-study/assets/71186266/ac8ed927-bec5-4560-b534-67fcfa3fb532) + + +앞서 설명한 탐색과정 처럼 대소비교를 통해 왼쪽, 오른쪽으로 이동한다. 이후 최하단을 보면 `addEntry`를 호출하는데, 여기가 실제 삽입이 발생하는 곳이다. 마지막 파라미터를 통해 왼쪽과 오른쪽 중 어느 곳에 넣을지 또한 전달한다. + +![addEntry](https://github.com/10000-Bagger/free-topic-study/assets/71186266/83617382-1c43-41bc-aaf5-f8322c1260f2) + +꽤나 심플하게 삽입하는 모습이다. 사이즈를 체크하고, 연산 횟수를 센다. **중요한 것은 `fixAfterInsertion()` 인데 여기서 앞서 설명한 균형 맞추기가 이뤄진다.** + +### 4.6 `fixAfterInsertion()` +이 `fixAfterInsertion`은 아주 잘 짜여져 있다.. 한번 java HashMap의 균형을 맞추는 부분인 `balanceInsertion()`를 보고 오면 이해할 것이다. 정말 어질어질 하다..
+ +![insert1](https://github.com/10000-Bagger/free-topic-study/assets/71186266/52ec5d28-6a43-4eeb-94aa-b5b69e35b791) + +앞서 설명한 삽입 이후 균형을 맞추는 과정이 while문 안에서 이루어지고 있다. (메서드의 역할은 이름 그대로 생각하면 된다.)

+ +이하 설명은 주석에 달아 두었다. + +- 메서드 시작 ~ While문 조건 +![fix1](https://github.com/depromeet/amazing3-be/assets/71186266/3b0bf49a-f358-404d-9794-bf28f3e5b943) + + +- while문 안의 분기 `Case A` : 부모가 조부모의 왼쪽 자식일 때
+ `Case A-1` : 부모와 형제 노드가 모두 빨간 색일 때. +![caseA1](https://github.com/depromeet/amazing3-be/assets/71186266/69463faf-dfa6-481d-9bd3-4e75e67a49c0) + +- `Case A-2` : 부모가 빨간색이며, 부모의 형제 노드는 검은 색일 때 +![caseA2](https://github.com/depromeet/amazing3-be/assets/71186266/9c4be355-f6bd-496b-98cd-edba550333c3) + + +- `Case B` : 부모가 조부모의 오른쪽 자식일 때이다. Case A와 대동소이하다. 부모 형제 노드를 찾는 부분과 회전 방향이 반대된다. +![caseB1](https://github.com/depromeet/amazing3-be/assets/71186266/f684e2b9-4ed0-411b-90e3-8289c64a33ab) +![caseB2](https://github.com/depromeet/amazing3-be/assets/71186266/1ef1a83e-b704-405e-b755-48832ea19978) + +이렇게 코드로 살펴보니, 앞서 설명만 봤을 때보다 훨씬 이해하기 쉽지 않은가? 특히 TreeMap은 코드를 아주 읽기 좋게 구성해 놓았다.
+현재 노드가 x, 부모의 형제가 y인 것만 빼면 나머지는 전부 이름을 통해 이해할 수 있다. + +
+ +![image](https://github.com/depromeet/amazing3-be/assets/71186266/070814fa-0272-4734-9560-96a54200e094) + +마지막으로 루트를 검은 색으로 칠하는데, 재조정 과정에서 루트가 검은색이 되는 경우를 방지하기 위해서이다!
+이렇게 하면 삽입과 재조정 과정이 끝나게 된다. 이제 삭제와 재조정 과정을 알아보자. + +## 5. 삭제와 재조정 +삭제는 아주 간단하다. 노드를 삭제한 다음, 자식 노드 중 하나로 그 노드를 대체한다. 대신 여기서도 빨간 노드 2개가 연속할 수 있고, 재조정 과정이 필요하다. + + +![image](https://github.com/depromeet/amazing3-be/assets/71186266/1e5defa0-7c4c-4c72-9b65-2b94ffdfdf1e) + +위와 같이 getEntry라는 메서드를 통해 지울 노드를 특정하고 deleteEntry를 호출한다. + +
+ + +![image](https://github.com/binary-ho/imhere-server/assets/71186266/2d667899-66bf-482e-b6d9-cc1e0b0694f8) + +DeleteEntry의 가장 윗 부분이다. +연산 횟수를 세고, 사이즈를 줄인 다음 **왼쪽 오른쪽 자식이 있는 경우 현재 노드 `p`를 Successor를 호출해 설정한다.** + +
+ +`Successor`는 지워질 노드를 차지할 새로운 노드를 찾는다! 발견된 값은 **`지워질 노드를 루트로 하는 서브 트리 안에서 현재 노드보다 크면서 가장 작은 값`** 이다. + +![image](https://github.com/depromeet/amazing3-fe/assets/71186266/872ef0c8-a4ce-4d3f-9292-c957d6780b24) + +위의 빨간 표시를 한 부분을 보자. 어차피 successor는 left와 right가 null이 아닐 때만 호출되므로, 무조건 빨간색으로 표시한 부분이 호출된다.
+ +그리고 그림과 함께 코드를 이해해보자. + +![17delete](https://github.com/binary-ho/imhere-server/assets/71186266/84af2944-c38d-4a16-b3e6-2be905e45b84)) + +예를 들어 17번 노드를 지운다고 생각해보자. (값 17을 가지고 있는 노드) 이 노드는 **오른쪽 자식, 왼쪽 자식 모두 가지고 있다** 따라서 succssosr가 호출된다. 다음으로 넘어가기 전에, 어떤 값이 17번 노드를 대체하면 좋을지 생각해보자.
+ +1. 13의 오른쪽이니 13보다 커야 하고 +2. 15를 왼쪽 자식으로 가졌으니, 15보다 커야 한다 +3. 그리고 25를 오른쪽 자식으로 가졌으니, 25 보다 작아야 한다. + +
+ +왼쪽에서 노드를 끌어올 것이 아니라면, `22번 노드`를 17번 노드가 지워진 자리에 두면 딱 좋을 것이다! `22`는 13보다 크고 && 15보다 크며 && 25보다 작기 때문이다. + +![17del2](https://github.com/binary-ho/imhere-server/assets/71186266/70c3cb37-da5a-4c3f-b795-286b88f8f353) + +
+ +그래서 코드가 아래와 같은 것이다. **오른쪽 자식을 현재 노드로 둔 다음, 왼쪽 자식을 계속 타고 이동한다. 그러면 지울 노드가 루트인 하위 트리에서 지울 노드보다는 숫자가 크면서 가장 숫자가 작은 "22"를 발견할 수 있다.**
+ +8을 지우는 경우에도 똑같이 11을 발견한다. +![image](https://github.com/binary-ho/imhere-server/assets/71186266/dc989931-38f2-49d4-9f97-12b87105ca93) + +루트를 지운다면? 15를 발견할 것이다.

+ + +호출한 이후엔 어떻게 될까? + +![image](https://github.com/binary-ho/imhere-server/assets/71186266/2d667899-66bf-482e-b6d9-cc1e0b0694f8) + +p에 key와 value를 대체한다 위에서 예시로 든 17을 지우는 경우 아래와 같이 22라고 "표시"하는 것이다. 그리고 현재 노드는 아래에 있는 22 노드가 된다. + +![image](https://github.com/depromeet/amazing3-fe/assets/71186266/9fa405b4-b2e0-4e8b-9a87-01681ea72451) + +
+ +**이제 문제는 아래의 22번 노드를 지우는 문제로 바뀌게 된 것이다!** + + +### 5.1 fixAfterDelete + +대체 노드를 찾은 이후엔 코드가 위와 같이 진행된다. 이 코드를 설명하기 전에, 중간 중간에 있는 현재 노드가 Black인 경우 균형을 맞추는 `fixAfterDelete`를 먼저 설명하겠다.
+ +일단, 왜 검은색에서 균형을 잡아야 할까?
+Red-Black Tree는 빨간색이 두번 연속 올 때 균형을 맞춰야 한다고 했다. 만약 지워지는 노드가 빨간색이었다면, 균형이 깨질 일이 있을까? 없다.
+균형이 깨지는 순간은 오직 빨간 노드가 검은 노드를 대체할 때 뿐이다. 따라서, 균형을 잡는다면 무조건 검은 노드가 지워질 때이다. + + +![image](https://github.com/depromeet/amazing3-fe/assets/71186266/7e45815c-70b4-4261-97dd-9a68f88932a7) + +![setlastblack](https://github.com/depromeet/amazing3-be/assets/71186266/a9d389e8-9a99-4454-bde5-676d5ac4cece) + +따라서, 현재 노드 `x`가 검은색이며, 루트가 아닌 동안 while문이 반복된다. 앞서, fixAfterInsertion에서 그랬던 것처럼 if문을 통해 x가 부모의 왼쪽 자식인지 오른쪽 자식인지를 통해 가장 큰 분기를 나눈다음, `sib`이라는 노드에 현재 노드의 형제 노드를 담는다.
+ +**while문을 빠져나간 다음에는 노드를 검은색으로 칠한다.** + +1. `현재 노드`가 `부모`의 왼쪽 자식인 경우 - `sib`은 부모의 오른쪽 자식 + - `Case 1` : 형제의 두 자식이 모두 검은색인 경우 Or 형제가 Leaf Node여서 두 자식이 NIL인 경우 + 1. 형제를 빨간 색으로 색칠한다. + 2. 현재 노드를 부모 노드로 변경. + ![beforedelete2](https://github.com/depromeet/amazing3-be/assets/71186266/1de99cdf-d45f-4687-8a3b-087d6ec91424) + + 예를 들어 위와 같은 상태를 생각해보자. 여기서 1이나 11을 지우면, Case 1에 해당한다. + + ![afterdelete2](https://github.com/depromeet/amazing3-be/assets/71186266/801edecb-bf91-41ac-ba30-46390ad1b8f6) + + 형제인 11을 빨간 색으로 칠한 다음, x를 부모 노드 8로 변경한다.
8은 빨간색이므로 while문을 빠져나가고, 메서드 가장 아래에 닿아 노드는 검은색으로 칠해진다.
보다싶이 모든 규칙을 만족하는 트리가 됐다.

+ + - `Case 2` : 형제의 두 자식 중 하나라도 빨간 색이 있는 경우 + 1. 형제 노드를 부모 노드와 같은 색으로 색칠한다. + 2. 이후 부모를 검은 색으로 칠한다. + 3. 형제의 오른쪽 자식을 검은 색으로 칠한다. + 4. "Left Rotate"를 실시한다. + 5. 현재 노드를 루트로 둔다. (break에 해당) + + ![afterdelete2](https://github.com/depromeet/amazing3-be/assets/71186266/801edecb-bf91-41ac-ba30-46390ad1b8f6) + + 위 그림에서 15를 지우면 `Case 2`에 해당한다. 부모의 왼쪽 자식이고, 형제의 두 자식이 빨간 노드이기 때문이다.
**형제 노드 25는 부모와 같은 색인 빨간색이 되고, 부모인 17과 오른쪽 자식인 27은 검은색이 된다.**
이후 "Left Rotate" -> 25가 루트가 되고, 17이 왼쪽 자식 27이 오른쪽 자식이 될 것이다. 결과는 아래와 같이 될 것이다. + + ![afterdelete3](https://github.com/depromeet/amazing3-be/assets/71186266/a566c920-5f5d-4df0-beab-93bad8970795) + + 모든 규칙을 만족하는 트리가 됐다.

+ + - `Case 2의 공통 연산` : 만약 오른쪽 자식이 검은 색이고, 왼쪽 자식이 빨간 색이라면 + 1. 빨간색인 왼쪽 자식을 검은 색으로 바꾼다. + 2. 형제를 빨간 색으로 바꾼다. + 3. 형제에 "Right Rotate"를 수행한다. (그러면 형제 노드가 자식 노드가 될 것이고, 오른쪽 자식이 위로 올라오게 될 것이다.) + 4. 이후, 형제 노드를 갱신한다. + - `전체 공통 연산` : `형제`가 **빨간색인** 경우 (나는 검정, 형제는 빨강) + 1. 형제를 검은 색으로 칠한다. + 2. 부모를 빨간 색으로 칠한다. + 3. 부모에 "Right Rotate"를 수행한다.
-> 그러면 검은색인 현재 노드가 부모의 자리에 가고, 부모 노드는 오른쪽 자식이 된다. + 4. 새로운 sib을 갱신한다. -> 기존 부모였던 빨간 노드가 형제 노드가 된다. +2. 만약 `현재 노드`가 `부모`의 오른쪽 자식인 경우 - `sib`은 부모의 왼쪽 자식이며, 위 과정을 모두 반대로 수행하면 된다. + + +### 5.2 대체 노드를 찾은 이후 + +![image](https://github.com/depromeet/amazing3-fe/assets/71186266/fad37635-c96b-4a07-9c42-ea9c6acf3be6) + +(if, else if, else를 각각 A, B, C번 분기라고 부르겠다.)
+ +이제부터 위의 대체 노드를 찾은 이후 연산을 살펴보자. 여기서도 케이스는 3가지 케이스가 있을 수 있다. + +- `Case A` : 왼쪽 자식, 오른쪽 자식이 모두 존재하여, succssor를 호출한 경우 +- `Case B` : 왼쪽 자식이 비어 있던 경우 +- `Case C` : 오른쪽 자식이 비어 있던 경우 + +### C번 분기 +C번 분기 부터 살펴보자. C번 분기는 replace가 null이며, parent는 null이 아닌 경우이다.

+ +이는 리프 노드일 때 도착할 수 있는데, 아래와 같은 경우에 리프 노드가 현재 노드이다 +1. 그냥 리프 노드를 삭제하는 경우 +2. **왼쪽 자식, 오른쪽 자식이 모두 존재해서 succssor를 호출한 경우** -> succssor는 리프 노드이기 때문에 replace가 null이다. + +
+ +C번 분기의 경우 만약 현재 노드가 검은색이라면, fixAfterDeletion을 호출한다.
+ +균형을 맞춘이후 부모가 null이 아니라면 노드를 참조하는 래퍼런스를 모두 떼어낸다. +1. 부모에서 자식 참조 제거 +2. 현재 노드에서 부모 참조 제거... + +### A번 분기 +지울 노드에 자식 노드가 하나라도 있으면 도착하는 곳이다.
+ +평범하게 지우는데, 대체할 노드의 부모를 지울 노드의 부모로 삼는다.
만약 지울 노드가 루트 노드라서, 부모가 없다면, 대체할 노드를 새로운 root로 삼는다.
+ +있는 경우 지울 노드의 부모가 대체할 노드를 새로운 자식으로 삼게 한다.
지울 노드가 왼쪽 자식인 경우 `p.parent.left = replacement;` 오른쪽 자식인 경우 `p.parent.right = replacement;`로 대체한다.
+ + +이렇게 지울 노드가 갈 곳이 없게되면, 모든 레퍼런스를 지워낸다. `p.left = p.right = p.parent = null;` 이후 지워진 노드가 검은색이였던 경우 fix한다. `fixAfterDeletion(replacement);` + + +### B번 분기 + +B번 분기는 간단하다. 지울 노드의 parent가 null인 경우 지울 노드가 root 노드라는 의미기 때문에, 단순히 트리 자체를 null로 만들어 버리면 된다. `root = null;` + + +## 6. 자바에서의 Red-Black Tree +자바에서는 앞서 살펴본 것과 같이 자료구조 TreeMap이 내부적으로 Red-Black Tree를 쓰고 있다.
+더 유명한 곳은 HashMap이다. Java 8에서 HashMap에 Treeify 연산이 추가되었는데, "트리화"연산이다.

+ +원래 HashMap은 내부적으로 HashTable을 사용하고 있다. 잘 알려진 평범한 HashTable처럼 여러 버킷을 가지고 있고, 해쉬코드로 버킷을 식별한 다음, 버킷마다 LinkedList 형태로 주렁 주렁 노드들을 달아 노드 안에 값을 저장해두었다.
+버킷 식별엔 `hashCode()` 메서드가, 노드끼리의 동등성 비교엔 `equals()`가 쓰인다.
+이런 링크드 리스트가 충분히 길어지는 경우 탐색 시간은 길어질 수 밖에 없다. 링크드리스트는 탐색 시간이 O(N)이기 때문이다.
+ +이런 상황에서 도입된 것이 `treeify`인데, 아래와 같이 기준 Threshold값을 가지고 있다. + +![image](https://github.com/10000-Bagger/free-topic-study/assets/71186266/29625db6-1e41-4652-be3a-9339e4343423) + + +노드 갯수가 5개가 넘어가면, 트리화 시키고, 더 적으면 다시 링크드 리스트로 만든다.
+ +**이 트리가 바로 레드 블랙 트리이다!** + +
+ +이 treeify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적고 싶지만, 글이 너무 길어졌고 주제는 레드 블랙 트리이기 때문에 이만 줄여보려 한다.